이제 PRD를 써보자

이제 PRD를 써보자

안녕하세요. 콴입니다. 한동안 뉴스레터가 뜸했습니다.
지난번 요즘IT와 시리즈 글 발행에 참여한 이후로 요즘IT의 제안을 받아 PMF 뉴스레터의 일부를 요즘IT로 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요즘IT로 먼저 발행을 한 이후에 PMF뉴스레터로 재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어서 첫번째 발행을 준비하느라 시간이 좀 오래걸렸습니다.

그 사이 기존에 발행했던 글 하나를 요즘IT에 재발행하기도 하였습니다.

CS가 탁월하면 프로덕트가 무능해진다.

이번 발행글은 PRD에 관한 글입니다. 얼마전 진행했던 푸딩캠프의 학습과성장 언컨퍼런스에서 PM의 성장에 대해서 얘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세션을 준비하면서 저도 역설적으로 PM이 성장하는 지점이 어디일까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PM은 제품을 산출하는 전체 여정을 통해서 산출을 함으로써 성장한다고 늘 얘기해왔고 이 명제는 여전히 유지합니다만, 그 여정 속에서 어떤 레벨업포인트나 스킬셋획득, 아이템겟 과 같은 포인트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었거든요. 

하지만 결국 큰 전제는 제품개발프로세스이고, 이 프로세스의 기본이자 시작점은 결국 PRD 입니다. 삼성전자에서 PRD를 처음 접했던 이후로 어디를 가나 저는 PRD를 작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반대로 어느곳에서도 PRD를 쓰는 조직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PRD를 써보자 라는 주제로 1편 (모두가 알지만 누구도 제대로 쓰지 못하는) 을 먼저 발행하고 이어서 아직 제목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2/3편 (성장하지 못하는 PM; 그대들은 어떻게 살것인가) 를 11월 초에 이어서 발행할 예정입니다.

모든 발행글은 요즘IT에서 선발행한 이후, 소개와 링크를 통해 뉴스레터로 재발송되는 점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조금 적응이 되면 상대적으로 짧은 글은 요즘IT를 통하지 않고 직접 발행하며 월 3-4회의 발행을 진행해볼 생각입니다.

그럼 이번 뉴스레터는 아래 글을 통해서 즐겨주시기 바랍니다.

요즘IT: 모두가 알지만 누구도 제대로 쓰지 못하는, PRD

성장하지 못하는 PM,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Read more

네오메이션 news

PMF 05호와 06호에서 각각 투자를 집행한 반려동물수분해장 기업 네오메이션의 최신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PMF는 2024년 여러 흥미로운 초기스타트업 5곳에 투자를 집행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반려동물시장의 성장을 주목하고 여러 기업을 검토한 끝에 투자를 결정한 네오메이션은 수분해장이라는 기술을 국산화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향후 시장의 needs를 맞춰가야 하는 극초기단계의 기업입니다. 투자하고 아직 몇개월이 지난 것은 아니지만, 내부의

By Juno Kwaan

(재발행) PMF07호 정규펀드 모집 안내

안녕하세요. PMF 조합원 여러분. 대표파트너 콴입니다. 지난번 발행한 뉴스레터에서 구글폼의 권한문제가 있어서 불편을 드렸습니다. 모집안내 레터를 재발행드리니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PMF는 2025년을 맞아 07호 정규블라인드 펀드를 결성하고 있습니다.  2024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05호와 06호 조합원 여러분께 펀드소진 소식과 함께 연말정산 투자확인서를 보내드렸습니다. 모쪼록 좋은 연말정산 환급이 있으셨기를 기대합니다.  앞서 보내드린 뉴스레터에서처럼,

By Juno Kwaan

PMF07호 정규펀드 모집 안내

안녕하세요. PMF 조합원 여러분. PMF는 2025년을 맞아 07호 정규블라인드 펀드를 결성하고 있습니다. 2024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05호와 06호 조합원 여러분께 펀드소진 소식과 함께 연말정산 투자확인서를 보내드렸습니다. 모쪼록 좋은 연말정산 환급이 있으셨기를 기대합니다. 앞서 보내드린 뉴스레터에서처럼, 이번 환급금액을 기반으로 07호 펀드에도 출자를 해주신다면, 올해 투자할 대상기업을 포함해서 10여개의 유망한 스타트업에 분산투자를

By Juno Kwaan
바쁜가? 무엇때문에 바쁜가?

바쁜가? 무엇때문에 바쁜가?

하루종일 가득찬 캘린더로 일주일을 살아갑니다. 일단 반복되는 정기회의가 한줄은 빼곡하게 채우고 있고, 요청사항이 가득한 회의에서부터 분명히 비정기적이고 뜨문뜨문 있어야 하지만 왠지 매주 대여섯시간은 가져가고 있는 면접참석이라던가, 리더로서 조직구성원과 1on1을 매주 하려다보니 20분 30분 단위로 쪼개놓은 일정들이 하루 정도는 잡아먹기도 합니다. 그래서 다들 바쁩니다. 그것은 좋은일일수도 있고 또 꼭 그렇지만은 않을

By Juno Kwaan